티스토리 뷰

 

안녕하세요 비버입니다.

 

오늘은 주민번호 뒷자리 의미를 알아보려고 합니다...후후

주민번호 뒷자리를 이용하여 바로 출신지역(고향)을 알아 볼수 있습니다.

 

저도 제 형과 주민번호 뒷자리 중 5자리가 똫같아서 이상하게 생각하다가 알아보다가 출신지역과 출산순서를

알수 있다는것을 알고 이번에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.

 

 

 

위 그림을 보면 A B C D E F G 자리가 있는데

 

이중에서 A

 

1800년대 출신이면 주민번호 뒷자리가 남자는 9, 여자는 0 이고

1900년대 출신이면 주민번호 뒷자리가 남자는 1, 여자는 2 이고

2000년대 출실이면 주민번호 뒷자리가 남자는 3, 여자는 4 이렇게

100년마다 주민번호 뒷자리가 +2씩 증가합니다.

 

 

 

B C D E B C

 

서울 : 00 ~ 08

부산 : 09 ~ 12

인천 : 13 ~ 15

경기도 : 16 ~ 25

강원도 : 26 ~ 34

충청북도 : 35 ~ 39

충청남도 : 41 ~ 47

전라북도 : 48 ~ 55

전라남도 : 56 ~ 64

경상북도 : 70~ 80

경상남도 : 81~ 99 (85 제외)

대전 광역시 : 40

광주 광역시 : 65 ~ 66

대구 광역시 : 67 ~ 69

울산 광역시 : 85 

 

 출생지 고유 번호입니다.

 

 

 

D E는 동사무소 고유번호이기 때문에 자세하게 설명하기엔 너무 많아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F는 출생 순서입니다.

출생순서란 같은 년, 날에 태아난 아이중 출생신고의 순서를 말합니다.

즉 91년도 11월 11일에 5번째로 태어났는데 3번째로 출생신고를 하면 3이 되는겁니다.

이 숫자는 아마 낮을꺼라고 예상이 됩니다......

 

 G는 오류 검증코드로 주민번호가 잘못된 것인지 확인하기위한 검증코드입니다.

앞의 12자리의 숫자 조합으로 만들어 진다고 합니다. 

 

.

.

.

 

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 만들어보면

 

대전에 살면서 출생신고를 2번째로한 남자 아이의 가상 주민번호는 140XX3X입니다.

 

 

 

밑에 하트모양 공감 버튼 눌러주시기 바랍니다. 로그인 하지 않아도 누를수있으니 한번씩눌러주세요.

글쓴이에게는 큰 힘이 됩니다. 

그럼 20000~

 

 

 

댓글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